일식은 어느 나라에서건 가장 오래되고, 정확한 기록들을 갖고 있는 자연현상이다.

자연현상을 '신의 뜻'으로 여겼던 시절에 일식은 '변고'일 뿐이었다.

 

히 해가 하늘 위에서 인간들을 바라보며 절대적인 영향력을 행사한다고 신격화하던 사람들에게

일순간 해가 사라지고 하늘이 어두워지는 현상은 어떤 경우에도 '기분 좋은 일'일 수는 없었다.

일식을 하늘이 지상에 벌을 내릴 재앙의 징조로 여겼던 것도 이 때문이다.

 

하지만 오늘날 일식은 결코 '미스터리'의 영역이 아니다.

우주의 자연스러운 법칙에 의해 달이 지구와 해 사이를 지나가면 언제든지 일어날 수 있는 일이라는 것은

누구나 알고 있다.

 

이제 일식은 자연현상을 가르치는 살아있는 교재이자 꼭 봐야할 '이벤트'로 여겨진다.

 

 

21일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 일대와 태평양, 북미 서쪽 일대에서 일식이 관찰됐다.

일부 지역에서는 부분일식이, 일본 등지에서는 달이 태양의 테두리 안으로 완벽하게 들어가 고리 모양의 빛나는 반지가

만들어지는 '금환식'을 볼 수 있었다.

과학전문 '라이브사이언스닷컴'은 이제 과학계는 물론 일반인들도 참여할 수 있는 '축제'로 여겨지는 일식을 맞아

전 세계적으로 전해 내려오는 '해와 일식의 전설' 다섯 가지를 모아 소개했다.

 

지구를 포함한 8개의 행성을 거느리고 있는 태양계의 왕이자 가장 가까운 별인 해를 옛날 사람들은 어떻게 바라봤을까.

공교롭게도 세계 각국의 해나 일식과 관련된 신화는 너무도 닮아있다.

해가 지구를 돈다고 여겼던 '천동설'의 시대에 인류는 과학 대신 풍부한 상상력으로 하늘을 바라봤다.

● 中 전설엔 용에게 잡아먹힌 해로

고대 중국의 태양신인 여신 시호는 천제와의 사이에서 열 개의 해를 낳았다.

시호는 매일 열 아들 중 하나를 뽑아 자신의 마차를 타고 거대한 뽕나무를 출발해 하늘을 돌아 거대한 연못과 계곡을 거쳐

돌아오도록 했다.

동쪽 바다의 해가 떠오르는 뽕나무를 중국인들은 '부상'이라고 불렀고, 그 높이는 3㎞가 넘는다고 여겼다.

 

그러나 시호의 아들들은 어쩌다 한번씩 돌아오는 외출이 마음에 들지 않아 규칙을 어기기로 마음먹었다.

 

어느날 열 개의 해가 한꺼번에 모두 떠오르자 지상의 강이 마르고 초목과 곡식은 타죽고 불바다가 됐다.

책임감을 느낀 천제는 영웅 '예(?)'에게 붉은 활과 하얀 화살 10개를 주면서 아들들이 장난을 치지 못하게 혼내주도록 명했다.

하지만 지상의 참혹한 광경을 목격한 예는 화살로 해를 하나씩 아예 떨어뜨려 버리기 시작했다.

요임금은 모든 해가 사라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어린 아이를 보내 화살을 하나 훔쳤고, 결국 마지막 남은 해가

오늘날 하늘 위에 떠있게 됐다는 것이다.

일식의 경우에는 다른 전설이 있다.

용이나 악마가 배가 고파 해를 잡아먹으려 한다는 얘기다. 하지만 해는 너무 뜨거워 베어문 후 다시 뱉어낼 수밖에 없기 때문에

하늘은 다시 밝아지게 마련이다.

 

일식에 대한 중국의 기록은 기원전 720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 북유럽


북유럽 신화에서 신은 불멸의 존재가 아니다. 헐리우드 영화 어벤져스의 주인공 중 한명인 '토르'와 그의 아버지 절대신

'오딘', 동생 '로키'의 얽힌 관계는 이미 수천년전 고대 노르웨이에서부터 전해 내려왔다.

북유럽 신화의 신들은 거인족이나 늑대와 끊임없는 싸움을 벌여 서로 죽고 죽인다.

해마차를 탄 여신 솔과 달마차를 탄 남동생 마니 역시 늑대 스콜과 하티에게 각각 쫓겼다.

태양과 달이 언제나 같은 방향으로 열심히 달리는 것은 바로 늑대에게 잡아먹히지 않기 위한 필사의 도주라는 것이다.

간혹 솔과 마니가 위기에 빠져 늑대들에게 거의 잡아먹히기 직전이 되면 일식이나 월식이 일어난다.

 

고대 노르웨이인들은 솔과 마니가 언젠가는 늑대에게 잡히고, 이것이 결국 신과 지구를 멸망으로 이끄는 '라그나로크'로

이어질 것이라고 두려워했다.

● 이집트


다른 나라에서 해가 절대신의 가족이나 심부름꾼으로 묘사되는데 비해 고대 이집트 신화에서는 매의 얼굴을 가진 태양신

''가 주인공이자 절대신이다.

는 낮의 이름으로, 아침에는 케프리, 저녁에는 아툼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라는 매일 '만제트'라고 불리는 초생달 모양의 배를 타고 하늘을 가로지른다.

밤이 되면 라는 지하세계를 거쳐 동쪽으로 돌아온다.

 

이 과정에서 라는 저승을 위협하는 악마인 거대한 독사 '아펩'과 싸우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아펩이 일시적인 승리를 거두게 되면

일식이 일어난다.

 

아펩은 매일 밤 라에게 칼이나 창으로 찔려 죽지만, 다음 날이면 다시 살아나 공격하는 불사의 존재다.

● 체로키 인디언은 딸 잃은 해의 슬픔으로

체로키 인디언들의 상상 속에서 해는 항상 자신의 동생 달을 질투하는 존재였다.

그는 사람들이 남동생을 환한 웃음으로 바라보는 것과 달리 자신을 볼 때마다 눈을 찡그리고, 고개를 돌리는 것을

참을 수 없었다.

이 때문에 해는 하늘 가운데에 있는 딸을 만나러 가던 일과를 하지 않기 시작했다.

대신 자신의 화를 지구상에 표현하기 시작했고, 뜨거운 열 때문에 사람들은 열병에 걸려 죽어갔다.

사람들은 어린 현자를 찾아가 구원을 요청했다.

어린 현자는 용맹한 체로키 인디언 한 사람을 방울뱀으로 변신시켜 해의 딸 집으로 보냈다.

해를 기다리던 방울뱀은 실수로 해의 딸을 물어 죽이고 만다.

딸의 집에 도착한 해는 딸의 시신을 발견하고, 그의 눈물은 지구상에 홍수를 일으켰다.

사람들은 해의 눈물을 멈추기 위해 저승에서 딸을 구해오려고 하지만 실패하고, 눈물을 멈춘 해는 더욱 강한 열기를

내뿜기 시작한다.

결국 사람들은 해의 분노가 풀릴 때까지 노래를 부르고 춤을 추기 시작하고, 이는 인디언 축제의 기원이 된다.

 

일식은 사람들의 춤과 노래로 해가 딸을 잃은 슬픔을 떠올릴 때 일어나는 현상이다.

● 뉴질랜드 마오리족


오래 전, 마오리족이 살고 있던 뉴질랜드에는 해가 지금보다 훨씬 빨리 움직였다.

해는 뜨기 무섭게 어둠 속으로 사라졌고, 사람들은 밖에 나가거나 농사를 지을 수 없었다.

부족의 영웅 마우이는 이를 바로잡기 위해 동쪽에 해를 잡아둘 동굴을 마련했다.

동굴 속에 그물을 친 마우이는 도끼(혹은 동물 턱뼈)로 해와 싸우기 시작했고, 결국 힘이 빠진 해는 오늘날과 같은 속도로

하늘을 날기 시작했다.

'일상 > 世事雜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마트해지려면 3가지를 콕 집어 기억하라...  (0) 2012.05.29
인삼 재배  (0) 2012.05.24
만우절 소개  (0) 2012.04.02
금연  (0) 2012.03.16
직장에서 활력을 높이는 다섯 가지 방법  (0) 2012.03.0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