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황은 그날의 입질에 달려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리고 노련한 조사일수록 낚시할 때마다 그곳의 입질을 빨리 파악해 그에 대처하는 밑밥과

챔질로서 남보다 훨씬 좋은 조황을 걷을 수 있다.


계절마다 붕어의 입질은 달라진다.

계절이 아니더라도 입질이 다른 경우는 많다.

 

저수지마다 분명 차이가 있고 물 빠질 때와 물 차 오를 때, 고기의 크기, 밑밥의 크기와 묽기

등등에서 차이가 난다.


이렇듯 차이나는 붕어입질에 대해 어느 때 챔질에 들어가야 하는 지를 아는 것이야말로 그날 조황을

판가름하는 기로가 된다.

 

그러기 위해선 우선 붕어의 입질을 정확히 알아야 한다.

앞서 입질과 그에 따른 챔질시기를 말했다.

하지만 이는 반드시 옳은 이야기는 아니다. 찌가 오르는 중이라도 헛챔질 한 경우가 어디 한두 번인가.
정확한 입질 파악과 그에 따른 챔질시기를 정하는 것이야말로 떡밥낚시의 마지막 기법이 되겠다.

 

그러면 붕어의 입질은 어떻게 이루어지는 지 그에 따라 찌놀림은 어떻게 표현되는 지 좀 더 근본적인

이해가 필요하다.

 



- 붕어입질6단계


떡밥미끼를 기준으로 입질동작을 세밀히 구분하자면

1)탐색 - 이 경우 붕어는 그 성격상 바로 먹이를 흡입을 하지 않고 먹이를 노려보며 주위를 살피거나

            먹이주위를 도는 1차 경계를 한다.

            주위가 안전하다고 느낀 붕어는 바로 본격적인 흡입행동에 들어가는 놈도 있지만,

            주둥이나 지느러미로 살짝 건들어 보거나 살짝 흡입해 보며 이 먹이가 안전한지 한입에

            취할 수 있는 지 확인하는 2차 경계를 하는 놈이 태반이다.(1>찌가 움찔거린다;1차 예신)

2)꼬리 들어 흡입 - 2차 경계를 마친 붕어는 그래도 경계심을 풀지 않고 눈을 먹이에서 떼지 않은

            상태에서 일정한 거리를 두고 꼬리를 비스듬히 세운다.

            꼬리를 세운 붕어는 먹이를 향해 흡입을 시작한다.

            이때 붕어는 입을 먹이 크기만큼 넓게 벌리고 콧구멍과 함께 먹이 쪽 물을 세차게 빨아들인다.

 

            (1)이때 떡밥이 붕어 입 쪽으로 빨려 가며 어느 정도 구부정했던 목줄이 팽팽해져 봉돌이 약간

                끌린다.

 

            (2)이때 찌는 끌리는 만큼 깜박 물 속으로 들어간다.(2차 예신)

 

            (3)찌가 한두 마디 위로 솟기 시작한다. (본신)  

3)주둥이 흡입 - 붕어는 계속 흡입하여 먹이가 크게 벌린 주둥이근처에 왔을 때 머리를 치켜들며

            꼬리와 수평을 이루며 먹이를 주둥이에 문다.

 

            (4)찌가 점점 솟는 중 일단 찰나적으로 멈칫한다 ; (본신)

4)머리 들며 흡입 - 먹이를 주둥이에 문 붕어는 먹이를 쉽게 삼키기 위해 머리를 위로 치켜들며

            먹이를 이윽고 삼킨다.

 

           (5)찰나적으로 멈칫했던 찌가 연속적으로 오르며, 이내 완전히 섰다가 이윽고 물위로 눕기까지

             한다 ; (흡입)

5)토함 - 흡입했던 먹이에 이상이 있거나 이물질을 느끼면 먹이와 이물질을 급히 뱉는다.

 

           (6)찌는 흡입했던 힘으로 가성으로 오르거나 힘없이 멈췄다 떨어지기 시작한다).

6)하강 - 먹이를 다 먹은 붕어나 미처 이물질을 뱉지 못한 붕어는 토함을 계속하며 다시 빠르게

            바닥으로 머리를 숙인다.

 

           (7)오르던 찌가 갑자기 밑으로 빠르게 끌려 들어간다.



위의 6단계는 붕어의 정상적인 취이행동의 순서이다.

 

일반적으로 붕어의 취이행동을 흡토로만 간단히 알고 있으나 그 정도로는 입질 이해가 부족하다.

 

이렇듯 붕어의 먹이 취이행동을 구분하고 그에 따른 찌의 움직임을 이해하면 붕어의 입질이해는 물론

어느 때 챔질을 해야 하는 지를 알게 된다.

 

그런데 입질이란 경우에 따라 천차만별이다.

 

어떤 경우이며 어떤 시기에 채야 하는지 붕어 취이6단계를 살펴가며 알아보자.


 

 


- 입질과 챔질요령


․ 찌가 움찔거리는 듯 하다.


ㄱ)보통  붕어취이 6단계 중 1)-1>과2>로서 붕어가 떡밥을 흡입하기 직전이다.

    이내 찌는 깜빡 들어갔다가 쭉 오를 것이다.

    손을 낚싯대 위에 얹혀 챔질 준비를 한다.

ㄴ)이 상태로 입질이 끝나면, 뭔지 밑바닥 상태 등이 불안전한 경우로 2)-3>까지 이루어진 상태이다.
    챔질준비를 하는데 여기서 중요한 것은 이어 깜박 한마디 오르면 바로 챈다.

 

    갑자기 찌가 쭉 오르면 빨리 채는 것이 요령이다.

ㄷ)또는, 아주 추운 날이든지, 물이 급격히 빠진다든지, 몹시 불안한 상태 던 지 등의 경우로

    4)-5>까지 진행된 상태이다.

 

    이 때는 찌는 움찔거리는 것으로 끝난다.
    이런 경우 찌를 집중해서 보다가 움찔거릴 때 바로 챈다.


    몇 번 해봐도 헛챔질일 땐 고운 떡밥을 콩알만큼 작게 써 보면

    찌가 반 마디 정도 오를 수가 있다.   


    그래도 안돼는 경우는 붕어가 아닌 작은 피라미 등으로 보면 된다.


․ 찌가 깜박 들어간다.


ㄱ) 붕어취이 6단계 중 2)-2>까지 진행된 상태이다. 이후 찌는 쭉 오를 것이다.
    얹혔던 손으로 낚싯대를 잡아 바로 챌 준비를 한다.

ㄴ)놀랍게도 4)나 6)까지 진행된 상태로 계속 이런 입질로 끝나면 붕어의 이상입질이다.

 

    이 경우 봉돌이 수초등위에 떠 있다든지, 밑바닥이 고르지 못하든지, 경사가 심한 곳이라든지,

    수심이 너무 얕든지, 한 낮의 좀 큰 붕어의 입질이라든지, 봉돌이 너무 무겁다든지 중의 하나다. 
    바로 챈다.

 

    그래도 헛챔질이 한두 번 계속되면 마음속으로 하나, 둘-- 인터벌을 두고 채 본다.

    혹은 낚싯대 끝이 물 속으로 휘청 휘는 경우를 기다려 챈다.


    그래도 안되면 떡밥을 크게 단단하게 하여 밑밥을 달아보면 찌가 쭉 오를 때가 많다.



․ 찌가 반 마디나 한 마디 오른다.


ㄱ)붕어취이 6단계 중 2)-3>까지 진행된 상태로 이후 찌는 멈춤 듯하다 바로 오른다.
   이런 경우 연속으로 오를 경우 바로 채는 것이 요령이다.

ㄴ)초봄이나 기온이 뚝 떨어진 가을 이후의 전형적인 입질이거나 아주 작은 콩알의 전형적인 입질로

   4)-5>까지 진행된 입질이다.

   이때는 깜박 오를 때 바로 채면 백발백중이다.


   일반 밤낚시의 경우 떡밥을 묽게 크게 하면 시원스런 입질을 볼 때가 많다.  



․ 찌가 두세 마디 오른다.


ㄱ)붕어취이 6단계 중 2)-3>까지 진행된 상태로 이후에
    순간적으로 기다리다 보면 찌가 더 오르는데(이럴 경우 멈췄다 싶은데 오르는 경우로 그 멈추는

    움직임이 확연할 때도 있지만 감으로 느껴질 때가 더 많다.),

    빨리 오르면 빨리 채고, 이 때는 좀 작은 붕어이거나 주위가 어수선하던지 할 경우다.


    천천히 오르면 좀더 기다리다 채는것이 요령이다. 이 경우는 큰 붕어이거나, 주위가 안정된 상태이다.

    가장 이상적이고 안정된 입질로 가장 많이 보게되는 입질이다.

 

    다시 한번 강조하지만 이때는 충분히 기다리다 채는것이 중요하다.

    그래도 헛챔질이 많아지면 빠른 찌올림이든 늦은 찌올림이든 찌가 끝까지 올라 멈칫할 때 채는것이

    유리 할 때가 많다.

ㄴ)4)-5>까지 진행된 상태이다. 이런 입질로 끝나면 그날 입질은 약한 편으로
    찌가 솟기 시작할 때 바로 채는 것이 요령이며

    떡밥을 작게 쓰면 찌 오르는 폭이 좀더 클 수가 있다.


 


․ 찌가 멈추는 듯하지 않게 순간 쭉 오른다.


ㄱ)붕어취이 6)단계 중 4)-5>까지 진행됐거나 진행중이다.
    이 때는 적당히 찌가 올랐다 싶으면 채는 것이 요령이다. 이 경우 2)-2>가 대부분 있다.

ㄴ)5)-6>까지 진행되는 경우도 많은데 ,이 경우 2)-2>가 대부분 없다.

    이 때는 찌가 멈칫되는 경우 없이 갑자기 웬만큼 오르다 바로 떨어진다.

    이 경우 예신이 있다 싶으면 찌가 솟기 시작할 때 바로 채는 것이 좋다.
    갑자기 찌가 쭉 올라 멈칫하는 경우에는 늦었다 당황하지 말고 멈칫할 때 채면 된다.

    하여간 갑자기 오르는 입질은 떡밥을 좀더 크게 써 입질속도를 완만하게 하는 것이 요령인데,

    붕어의 씨알을 고려해 떡밥 크기를 정해야 한다.



․ 찌가 갑자기 솟다가 넘어진다.


ㄱ)붕어취이 6단계 중 빠르게 4)-5>이상 진행된 상태다.
    발랑 찌가 넘어갈 때 ‘어어’하지 말고 민첩하게 채면 된다.

 

    이는 붕어에 비해 떡밥이 너무 작거나 물 속에서 그렇게 풀린 상태로 떡밥을 좀 찰지게 하면

    제 입질을 받는데 자주 이런 입질이 연속되는 경우는 없다.

․ 찌가 옆으로 끌린다 .

ㄱ)이 경우는 붕어취이 6단계 중 3)-4>까지는 진행된 입질로 끌리다 깜박 들어가는 안 나오는 경우,

    이런 경우는 붕어가 먹이를 먹기에 안 좋은 수초, 지형여건 등의 환경 탓일 경우가 많은데 
    조금 기다리다 채는 것이 좋다.

ㄴ)끌리다 깜박 들어갔다 빠끔 반 마디나 한 마디 내미는 경우,

    이런 경우 한두 번 이런 입질이 반복되는 경우가 종종 있는 입질로 이런 경우는 환경 탓일 수도

    있지만 떡밥이 붕어에 비해 크거나, 붕어취이 6단계 중 4)-5>을 하기엔 비정상적인 경우 제바닥이

    아니라든지 등의 이유에서다.

    깜박 들어갔다 한마디 분명 나올 때 채는 것이 요령이며,

    이런 입질이 반복 중 올릴 듯 말 듯 반 마디 올릴 때 채는 것은 허탕일 때가 많다.

ㄷ)끌면서 찌가 천천히 솟는 경우, 이런 경우는 3)-4>에서 4)-5>으로 지형상의 이유 등으로 입질하는

    경우로 조금, 하지만 충분히 인터벌을 주고 됐다 싶으면 채면 된다.  

    이상 입질과 찌놀림 그리고 챔질시기 등을 정리 해봤다.

 

    더욱 심오하게 붕어입질을 연구해 보면 더 까다로운 입질이 있을 수 있지만 이 정도면 충분히

    참고하여 나름대로 정리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입질의 구분되는 유형별 원인과 떡밥의 상관관계, 원칙적인 대응책을 정리 해보자.


 


- 입질이 약하거나 까다로운 경우


1)날씨가 추울 때


2)바닥이 삭은 풀 등으로 지저분한 경우


3)갈수기 등 물이 급격히 빠질 때


4)갑자기 기온이 뚝 떨어져 일교차가 심한 경우


5)태풍 등 기압골이 들어올 때


6)보름달 등 주위의 빛이 너무 많을 때


7)주위가 소란스럽거나 배스, 피라미 등의 심한 곳


8)수심이 너무 낮거나 낮같은 경우의 입질이 대부분 이렇다.

참고로 이럴 때는 바늘은 작게, 목줄은 짧게, 떡밥도 작게 하는 예민한 채비로 가는 것이 원칙이다.

 

그 외에 떡밥의 상태에 따라 입질이 변할 수도 있다.

이는 매우 중요한 부분으로 이런 원칙의 이해와 응용으로 조력이 쌓아진다.

떡밥으로 붕어의 입질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 정도낚시의 맥이기도 하다.



- 떡밥과 입질의 관계


1)큰 떡밥   - 찌를 천천히 올린다.


2)작은 떡밥 - 찌를 빨리 올린다.


3)찰진 떡밥 - 찌를 많이 올린다.


4)묽은 떡밥 - 찌를 천천히 올린다.


5)고운 떡밥 - 찌를 많이 올린다.


6)거친 떡밥 - 찌를 천천히 올린다.

이런 떡밥과 입질의 상관관계에 따라 떡밥을 잘 배합하면

그 때마다의 상황에 최선의 입질을 받을 수 있다.

'낚시 > 낚시기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꽃과 낚시  (0) 2009.09.11
수로낚시 키포인트  (0) 2009.08.29
낚시 9조5작위(九釣五作爲)  (0) 2008.11.11
자연현상과 붕어  (0) 2008.02.27
찌의 구조와 기능  (0) 2008.02.2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