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히들 '붕어낚시는 찌맛' 이라고들 한다.
붕어의 입질과 동시에 시원스럽게 솟아오르는 찌, 그리고 챔질 후 온몸을 타고 전해지는 짜릿함.
제대로 된 붕어 손맛을 만끽하기 위해서는 찌는 물론 낚시대와 줄, 바늘, 미끼 등 다양한 도구가
하나로 결합 되었을 � 비로써 가능하다.
찌는 눈으로 볼 수 없는 물속 상황을 찌의 움직임을 통해 전달, 챔질 이라는 직접적인 행동을
이끌어 내는 시각적 기능이 우선한다. 붕어의 입질 유형에 따라 시원스럽게 솟거나 옆으로 움직이고,
혹은 물속에 잠기는 등 여러 가지 형태로 꾼들에게 전달된다.
이처럼 찌는 시시각각 변하는 물속 상황(붕어의 움직임)을 정확하게 전달하는 '안테나' 역할을 해주여야 한다.
현재 시중에는 다양한 소재의 찌가 판매되고 있으며. 자작찌를 만들어 사용하는 꾼들도 늘고 있는 추세이다.
이는 갈수록 약해지는 붕어 어신을 이겨내기 위해 좀 더 예민한 찌를 선호하기 �문이다.
하지만 예민한 찌만 고집할 필요가 없고 한다.
오히려 찌의 예민성만 강조하다 보면 챔질 타이밍을 정확히 맞추지 못해 고생하는 경우가 많아서
낚시터 유형에 맞는 찌를 선택하는 것이 최우선이며, 붕어의 예신에도 불쑥 솟아오르는 찌보다는
예신과 본신을 정확히 구별, 전달할 수 있는 찌가 좋은 찌임을 잊지 말아야겠다.
찌의 형태와 특징
개인의 취향이나 낚시터 상화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찌가 사용된다.
기본적인 예로 물 흐름이 있는 수로에서는 저항이 적은 짧은 막대형이나 유선형 찌가, 저수지에서는
찌톱이 긴 원추형 찌가 많이 쓰인다. 크게 찌 몸통은 오뚜기(다루마)형과 막대형(헤라)
그리고 유선형으로 나누어지며, 최근에는 몸통을 각각 다른 모양으로 제작한 후 상단과 하단으로 분리한
이중 부력형 등 다양한 형태로 만들어지고 있다.
먼저 오뚜기형은 몸통이 짧으면서 굵어 찌 전체길이 중 좁은 부분에 부력이 몰려 있다.
입질과 함께 상승하는 속도가 빠르며, 상대적으로 입수시 저항이 커 느리게 하강한다
따라서 채비의 수직입수가 가능하다.
일반적인 막대형 찌는 몸통의 위, 아래 굵기가 동일, 채비 입수와 상승이 부드러워 떡밥낚시에 많이 사용된다.
하지만 몸통이 길기 때문에 바람이 심하게 부는 날에는 찌가 흔들리고 심하게 기울어지는 단점이 있다.
유선형은 찌올림이 가장 예쁘고. 적당한 속도로 입수해 붕어 낚시꾼들에게 인기가 높다.
떡밥은 물론, 지렁이와 새우낚시에도 폭넓게 사용된다.
또한 최근 사용이 급증한 이중부력의 찌는 몸통의 부력중심점을 두 곳으로 분산, 입수성이 뛰어나며
부드럽고 긴 찌올림을 만끽할 수 있다.
하지만 찌의 성능을 좌우하는 것은 '부력'이다. 부력이란 물 속에서 찌가 떠오르려는 힘을 말한다.
이처럼 부력이 우선하는 찌를 물속에서 떠오르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봉돌(침력)을 이용,
무중력 상태로 만들어야 가능하다.
이것이 바로 찌맞춤으로 부력과 침력이 완전히 일치했을 때 보다 예민한 찌올림을 기대할 수 있다.
부력과 침력이 일치된 채비는 붕어 입질과 동시에 솟아오른다.
이는 바닥에 있던 붕돌이 붕어의 흡입과 동시에 바닥에 떠올라 팽팽하던 부력과 침력의 균형이 깨어진
상태로써 이때는 침력에 비해 부력이 크게 작용하기 �문이다.
소재별 찌의 부력 및 특성
먼저 몸통 소재는 수수깡이나 갈대, 오동나무, 발사, 스기목, 공작, 콜크 등 다양하지만 최근에는
오동나무와 발사. 부들이 찌 소재로 많이 쓰이고 있단다
발사목은 갈대나 수수깡에 비해 강도가 강하고 재질이 가볍고 가공이 쉬워 오동나무와 함께 가장 많이 사용된다.
특히 오동나무에 비해 가볍고 부력이 높아 예민한 찌올림을 만끽할 수 있다.
오동나무는 발사목에 비해 다소 무겁지만 견고하고 단단해 가장 많이 사용되는 찌 재료,
특히 나무결이 한 방향으로 나있어 손쉽게 가공, 사용할 수 있어 자작찌 재료로 인기가 높다.
떡밥낚시, 수초치기, 새우낚시 등 모든 장르의 낚시에 사용할 수 있으며 단단하고 잘 깨지지 않아 실용적이다.
부들은 부들의 줄기를 몸통으로 사용하는 찌로. 비중이 다소 무거운 편이지만, 전체적으로 밀도가 균일해
부력이 고르다는 장점이 있다. 표피가 두껍고 질겨 오래 사용해도 물을 잘 먹지 않는다.
부력이 매우 커 몸통 재료로 많이 사용된다.
찌의 역할과 기능
낚시에 있어 찌의 기능과 역할은 다른 도구에 비해 특히 중요한데 보이지 않는 물속 상황을 꾼들에게
고스란히 전달한다.
다시 말해서 물속에서 벌어지는 장면을 속속 보여주는 '눈'의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찌' 이다.
미끼에 접근한 붕어의 행동(예신 혹은 어신)을 정확하고 빠르게 꾼들에게 전달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원하는 지점에 채비를 투여할 수 있는 '채비 투여'의 기능도 가지고 있다.
이는 일정한 무게를 가지고 있는 찌와 봉돌이 결합 되었을 때 가능한 것으로 찌와 봉돌의 무게에 의해
원하는 지점으로의 채비투척은 물론, 미끼를 빨리 가라앉혀 주는 기능도 함께 내포하고 있다.
그리고 날씨나 저수지 조건에 따라 달라지는 붕어의 유영 층을 찾아내는 탐색 기능도 발휘한다.
찌의 위치를 조절, 다양한 수심층을 공략하면 붕어가 모여있는 수심층을 찾을 수 있으며
포인트의 수심을 찌로 정확히 알아낼 수가 있다.
마지막으로 채비나 미끼를 수직으로 입수시켜 붕어 입질 시 큰 저항감을 느끼지 못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이것이 바로 '채비의 수직입수'로 채비 투척과 함께 서서히 가라 앉을수록 수직입수가 가능해진다.
수심에 따른 찌의 선택방법은 대부분의 초보 꾼들은 낚시터에 관계없이 한가지 찌만 고집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포인트의 조건에 따라 엄연히 각 다른 형태의 찌가 사용된다.
포인트 조건에 맞는 찌의 형태
1) 수심1~2m전후 비교적 얕은 수심에 해당되는 지역으로 부력이 센 긴 찌보다는 짧으면서 부력이 약한 종류의 찌를
선택하는 것이 요령.
통상 7푼 이하 50cm 미만의 찌가 많이 사용되며, 갈대나 부들, 오동나무 등으로 만들어진 막대형,
또는 유선형 찌가 좋다.
2) 수심2~3m전후는 붕어낚시를 즐기기에 가장 적당한 수심으로 깊지도 않고 얕지도 않다.
찌 역시 가장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는데, 50~60cm전후의 길이가 좋고 호수는 1호가 적당하다.
오동나무나 발사 소재의 유선형과 오뚜기형, 막대형 등 다양하다.
3) 수심3m이상 깊은 수심을 보이는 댐이나 대형 저수지에는 3m이상의 수심을 보이는 곳이 많다.
당연히 이런 곳에서는 부력이 강하고 길이가 긴 장찌를 사용하는 것이 기본.
부력이 큰 오동나무나 스기목이 많이 사용되며 유선형이나 오뚜기형의 찌가 유리하다.
부력중심과 무게중심
부력중심은 찌의 안정성을 좌우하는 것으로 찌를 물에 얹어놓고 손으로 눌렀을 때 어느 한 쪽으로도
빠져 나오지 않고 수평상태를 유지하는 점이 바로 부력중심이다.
부력중심이 몸통 상단에 있는 찌가 복원력이 크고, 부력을 크게 받아 수직 입수가 좋다.
무게중심은 찌의 기울기 문제로 찌를 손가락에 올렸을 때 어느 한 쪽으로도 기울어 지지 않고
평형을 이루는 지점을 무게중심이라고 한다.
이 무게중심이 몸통 윗 쪽에 있는 찌는 입수 시 찌가 기울어져 몸통 밑 쪽에 무게중심이 있는 찌가
안정성이 뛰어나다.
'낚시 > 낚시기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낚시 9조5작위(九釣五作爲) (0) | 2008.11.11 |
---|---|
자연현상과 붕어 (0) | 2008.02.27 |
봄철 낚시 10계명 (0) | 2008.02.27 |
수온/기상과 붕어 (0) | 2008.02.27 |
꾼이 지켜야 할 35가지 (0) | 2008.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