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포지션
투수 : 야구공을 타자에게 던지는 포지션의 사람입니다.
포수 : 투수가 던진 공을 잡아냅니다.
타자 : 투수가 던진 공을 배트로 치는 포지션입니다. ( 볼을 치고 안치고를 결정할 수도 있습니다. )
루수 : 1루, 2루, 3루에 위치해있으면서 타자가 친 공을 잡아야 합니다.
그리고 외야에 나가있는 좌익수, 중견수, 우익수 그리고 2루와 3루 사이에 있는 유격수 가 있습니다.
타자를 잡은 쪽, 즉 공을 배트(야구방망이)로 치는 쪽이 공격하는 팀 입니다.
아웃이 3번, 즉 3 OUT 시 공격기회를 상실하게 되면서 상대팀으로 공격기회가 넘어갑니다.
아웃이 되는 경우
( 1 ) 타자가 공을 쳤을 경우 공이 땅에 닿기전에 수비쪽에서 공을 잡을 경우. ( 2 ) 공이 땅에 닿았다고 하더라도, 타자주자가 1루에 도착하기 전에 1루수가 공을 먼저 잡았을 때. (1루에 서있을때 상황) (다른 루수에도 적용) ( 3 ) 스트라이크 3번
아웃이 3번 ( 3 OUT ) 이 되면, 공격기회를 모두 상실하고, 상대팀으로 공격이 넘어가게 됩니다.
|
3 스트라이크 = 1아웃. 스트라이크에 대해서도 알아봅시다~!
( 1 ) 타자가 쳤으나, 방망이에 공이 맞지 않은 경우(헛스윙 한 경우)
( 2 ) 타자가 치지 않은 경우, 공의 일부분이 스트라이크존(Strike Zone)을 통과했을 때.
◀◀◀ The Strike Zone
( 3 ) 파울 1번 = 스트라이크 1번( 단 2 스트라이크 상황에서 파울은 스트라이크 아님 )
* 2 스트라이크 상황에서는 파울이 몇번 이던간에 3 스트라이크 되지 않습니다.
스트라이크 3번 ( 3 Strike ) 이 되면 1 OUT 이 되면서 다음 타자에게 공격기회가 넘어갑니다.
파울볼은 공이 파울 존 ( Foul Zone ) 으로 떨어졌을 때를 말합니다.
파울은 1 스트라이크로 처리되며,위에 말씀드린대로 2 스트라이크 상황에서는 파울이 몇번이건 상관없습니다.
타자가 공을 타격하지 않았을 때, 만약 그 공이 Strike Zone 에 들어갈 경우 스트라이크(Strike)구요.
그렇지 않은 경우는 볼넷 입니다.
볼(base on balls)이 되는 경우
( 1 ) 주자가 없을 때, 투수가 공을 던지려고 하다가 갑자기 멈추는 Fake 상황 (보크)
( 2 ) 20초 이상 공을 던지지 않을 때.
( 3 ) 타자가 타격할 때 (혹은 하지 않을 때) 공이 스트라이크 존을 통과하지 않은 경우.
볼이 4개 ( 4 볼 ) 이면 타자는 자동으로 1루로 나가게 됩니다. (이때 1루에 주자가 있으면 2루 진출. 밀립니다.)
# 볼(Ball) 인지 스트라이크(Strike) 인지 판정은 심판이 하게 됩니다. (심판의 행동을 주목하세요!)
심판이 오른손을 피면 스트라이크 이고, 아무 신호가 없으면 볼 입니다.
또 한손을 주먹진 뒤 내려찍는 동작은 아웃(Out) 이고, 두손을 크게 벌리면 세이프(Safe) 입니다.
지금까지 말씀드린 것이, 일반적인 득점 방법이라면 또 하나의 득점. 홈런이 있습니다.
타자가 공을 쳤을 때, 야구장의 외야펜스를 넘기면 홈런이라고 합니다. (단, 파울라인 안쪽이어야 합니다.)
홈런이 나올 경우, 타자는 자동으로 한바퀴를 돌고 홈베이스로 돌아오므로 1점을 자동으로 획득하게 되구요.
다른 루수에도 주자가 있다면, 모두 점수를 획득하게 됩니다.
외야펜스를 넘기는 것이 일반적인 홈런 이라면, 그라운드 홈런 이 있습니다.
그라운드 홈런 은 공이 깊숙히 들어갔을때, 발이 빠른 선수들이 한 루수만 진출하는 것이 아니고,
수비수에게 아웃을 당하지 않은채로 홈으로 돌아오는 것을 이야기 합니다. 흔한 경우는 아닙니다. ^^;
마지막으로 전광판 보는법입니다.(잠실야구장)
R : 지금까지 획득한 점수 입니다.
H : 안타한 갯수 입니다.
E : Error. 실책 수 입니다.
B : 볼넷(Ball) 개수와 + 몸에맞는공 개수